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시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엄청난 전투와 전설적인 순간으로 소환사의 협곡을 장식할 또 다른 한 해로 다시 돌아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국제 대회에 관해 공개할 업데이트가 아주 많습니다!
그럼 시작해 봅시다!
**2023 시즌 개막 특별전**
오늘,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는 3일간 여러 지역 리그가 참여하는 2023 시즌 개막 특별전과 랭크 게임으로 다시 돌아오는 플레이어들과 함께 공식적으로 2023 시즌을 개시했습니다. 2023 시즌 개막 특별전을 다룬 최근 공지를 보지 못하셨다면, 각 지역 내에서 개막 특별전이 이미 진행 중이니 lolesports.com에 접속하고 로그인하여 달콤한 드롭을 받아 보세요!
**2023 MSI 개최지 발표 및 진행 방식 업데이트**
2023년에는 런던에서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이 개최됩니다! 전 세계에서 모인 13개 팀이 MSI 챔피언의 자리를 놓고 치열한 전투를 벌입니다. 새로운 대회 진행 방식으로 변화를 일으킬 예정이니 박진감 넘치는 대회를 기대해 주세요.
올해는 더 많은 팀이 대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11개 팀에서 13개 팀으로 MSI의 규모를 확장하며 두 번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스테이지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바로 **플레이-인 스테이지**와 **브래킷 스테이지**입니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는 LEC, LCS, LPL의 2번 시드와 LLA, CBLOL, PCS, VCS, LJL의 1번 시드로 총 8개 팀으로 구성됩니다.
- 2022 월드 챔피언십에서 LCK가 우승했기 때문에 2023년에 LCK 2번 시드는 바로 브래킷 스테이지로 진출합니다.
- 이 8개 팀이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3판 2선승제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경기를 진행합니다.
- 각 조의 승자 및 패자조 대진에서 승리한 두 팀이 대결하는 최종 선발전의 승자는 브래킷 스테이지로 진출해 직행한 5개 팀과 합류합니다.
- **브래킷 스테이지** 에서는 8개 팀이 5판 3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 대진으로 맞붙게 됩니다. 이 스테이지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의 승자 3개 팀과 LEC, LCS, LPL, LCK의 1번 시드 및 LCK의 2번 시드로 구성됩니다.

MSI는 팬들에게 시즌 중반에 각 팀과 지역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강한지 평가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대회 진행 방식을 새롭게 변경함으로써 이런 기회를 더 잘 전달하고 더 신나는 다전제 경기를 보여주며 여러 선수의 이야기를 더 많이 공개하고자 합니다.
2023 MSI에는 런던에서 여러분과 함께 할 수 있기를 기대하겠습니다!
**2023 월드 챔피언십 공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 5년 만에 한국에서 다시 개최된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어 영광입니다! 한국은 e스포츠가 탄생한 나라이자 현 월드 챔피언의 고향이며 이른 시일 내에 장소와 일정을 공개해 드리겠습니다.
월드 챔피언십 또한 새로운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올해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22개 팀이 3개의 스테이지에서 경쟁합니다. **플레이-인, 스위스 스테이지** 그리고 **토너먼트 스테이지**입니다. 또한 월드 챔피언십을 시작하기 전에 새로운 선발전 시리즈를 공개할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바로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입니다.
-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는 LEC 4번 시드와 LCS 4번 시드의 5판 3선승제 경기로 진행됩니다. 이 시리즈에서 승리한 팀이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합니다. 향후엔 더 많은 지역과 팀이 참여할 수 있게끔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 WQS(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의 승자는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참가하는 8개 팀을 포함한 21개 팀과 함께 한국에서 열리는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해 경쟁합니다. 시드 배정은 각 지역의 이전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정해졌습니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 시작 8개 시드:**
- VCS, PCS의 각 상위 2개 팀
- LLA, CBLOL, LJL의 각 상위 1개 팀과 WQS의 승자
- **스위스 스테이지 시작 14개 시드:**
- LPL, LCK의 각 상위 4개 팀
- LEC, LCS의 각 상위 3개 팀

-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는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더블 엘리미네이션 대진을 통해 스테이지 2로 진출할 두 팀을 선발합니다. 각 조는 3판 2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 대진을 진행하고 한 조의 '승자조 승자'가 다른 조의 '패자조 승자'와 5판 3선승제로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권을 놓고 경기를 펼칩니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의 두 승자는 직행한 14개 팀과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합류합니다.
- **스위스 스테이지**는 5개의 라운드에서 같은 승리 및 패배 횟수를 기록한 팀들이 3승이나 3패를 기록하기까지 서로 경쟁하는 스위스 스타일 진행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스위스 스테이지는 각 팀이 무작위로 다른 지역의 팀과 짝을 이루고 시작합니다. 각 팀은 단판승제 경기를 진행합니다.
- 2라운드에서 팀들은 같은 성적을 기록한 팀(예: 1-0의 성적을 기록한 팀은 1-0의 성적을 기록한 다른 팀과 경기를 진행)과 다시 경기를 진행하게 됩니다. 총 5라운드 동안 이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며 팀들은 3번 승리하여 **토너먼트 스테이지**로 진출하거나 3번 패배하여 대회에서 탈락하게 됩니다. 팀의 진출 또는 탈락 여부를 결정하는 모든 경기는 3판 2선승제로 진행되며 나머지 경기는 단판승제로 진행됩니다.

- **토너먼트 스테이지**는 스테이지 2에서 선발된 8개 팀으로 구성되며 각 팀은 스테이지 2의 성적에 따라 싱글 엘리미네이션 대진에 배정됩니다. 8강과 4강 그리고 결승으로 구성된 토너먼트 스테이지를 통해 2023 월드 챔피언십 챔피언이 결정됩니다.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다전제 경기를 더 많이 구성하고 지역 간 경쟁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또한 월드 챔피언십의 게임 하나하나가 중요한 역할을 가지게 하고 경기를 진행하는 양 팀의 대회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엘리미네이션 방식의 게임을 최소화하고 싶었습니다. 플레이-인과 스테이지 2에서 여러 가지 엘리미네이션 진행 방식을 도입하여 대회 초반에 좋지 않은 성적을 낸 팀이 역전할 기회를 제공하고 더 많은 게임에서 좋아하는 선수들이 경쟁하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토너먼트 스테이지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5판 3선승제 진행 방식을 유지하여 최고 중의 최고인 팀은 누구인지 증명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또 다른 기회 없이 숨 가쁘게 단 한 번의 기회로 모든 것을 거머쥐는 것이죠.
2023년에는 여러 가지 새로운 방식이 도입되니 커뮤니티 여러분의 의견을 하루빨리 들어 보고 싶습니다! 언제나처럼, 소셜 미디어에서 @lolesports 팔로우를 통해 최신 소식과 업데이트를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행운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