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퍼스트 스탠드

    글로벌 대회

  2. MSI

    글로벌 대회

  3. 월드 챔피언십

    글로벌 대회

자세히 살펴보기

AWS에서 제공하는 전 세계 경쟁력 순위

좋아하는 팀이 전 세계 무대에서 얼마나 잘 경쟁하고 있는지 새롭고 역동적인 방식으로 확인해 보세요.

오늘은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역사에서 역사적인 날입니다. 바로 전 세계 경쟁력 순위를 공개하는 날이기 때문이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이 역동적인 순위 엔진은 Amazon Web Services (AWS) 기술로 구동되며, 1티어 리그 내 팀들의 경쟁력을 맥락화하여 나타냅니다. 좋아하는 팀의 경쟁력을 확인하고 싶거나 경쟁 구도를 좀 더 폭넓게 이해하고 싶을 때 전 세계 경쟁력 순위가 없어선 안 될 e스포츠 동반자가 되어줄 것입니다.

전 세계 경쟁력 순위는 전 세계 모든 1티어 리그 오브 레전드 팀들을 위한 순위 시스템입니다. ELO와 유사한 모델을 기반으로 구축된 이 시스템은 개별 팀의 성적뿐만 아니라 해당 팀이 속한 지역의 강점도 평가합니다. 2024 월드 챔피언십 기간에는 매일 갱신될 예정이며, 결과적으로 전 세계 경쟁 구도에 대한 종합적이고 투명한 현황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전 세계 경쟁력 순위가 남다른 이유

전 세계 경쟁력 순위는 리그 오브 레전드만의 독특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되었습니다. 격주로 진행되는 패치로 인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메타와 리그마다 천차만별로 다른 구조 및 실력 수준은 저희가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큰 영향력을 발휘했습니다.

작동 원리 ELO의 근거

전 세계 경쟁력 순위는 근본적으로 팀 ELO와 해당 팀이 속한 리그의 ELO 사이에서 가중치를 적용해 평균을 내는 혼합형 ELO 지표입니다. 이 접근 방식은 순위를 손쉽게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직관적일 뿐만 아니라, 게임 자체의 복잡성을 포용할 수 있을 만큼 정교합니다. 경쟁력 점수 공식의 경우 팀 ELO에 80%, 리그 ELO에 20%의 가중치가 적용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정확한 예측을 위해 미세 조정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핵심 기능

  1. 게임 기반 해결 방안: 이 모델은 시리즈 내 경기가 끝날 때마다 갱신됩니다. 즉 지역 스플릿이나 국제 대회 기간에 진행되는 모든 경기를 고려한다는 의미입니다.

  2. 맥락화된 경기 가중치 (K 팩터): 국제 대회는 지역 대회보다 더 큰 가중치가 적용되며, 그룹 스테이지 경기보다 토너먼트 스테이지 경기가 더 큰 의미를 갖습니다. 중요도가 높은 경기가 순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셈입니다.

  3. 평가 기간: 리그 ELO의 경우 3년, 팀 ELO의 경우 2년의 평가 기간을 거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은 국제 경기의 방대한 표본 규모를 유지하면서 로스터 변경이 끼치는 영향을 균형 있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4. 정확한 예측: 본 시스템의 경기 결과 예측 능력은 엄격한 테스트를 거쳤으며, 예상 결과와 실제 결과 사이에 강력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앞으로의 미래: 잠재적인 개선 사항

전 세계 경쟁력 순위는 이제 막 걸음마를 뗐을 뿐입니다. 2025년부터는 아래와 같은 개선 사항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 게임 내 통계를 통합하여 경기 성적에 따라 경쟁력 점수를 조정하는 기능

  • 개인 공헌도를 좀 더 잘 반영하기 위한 선수 기반 경쟁력 순위 도입

  • 시스템의 정확도를 더욱더 발전시키기 위한 K 팩터 세분화

여정에 동참하세요

2024 월드 챔피언십 기간에 lolesports.com 및 방송을 통해 전 세계 경쟁력 순위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1월 2일 월드 챔피언십 결승 이후 2024년 최종 순위를 발표한 뒤, 2025 시즌 시작을 준비할 계획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세계의 혁신과 발전은 앞으로도 계속될 예정이니 새로운 소식을 기대해 주세요.

Riot Games
League of Legends

© 2025 Riot Games. All Rights Reserved.